J Korean Geriatr Soc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4;8(4):196-20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4.
Weighting the items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Scale and its Validity
Chang Woo Won, Soo Young Kim, Bi Ryong Cho, Duk Sunwoo, Eun Sook Jung
한국형일상생활평가도구(K-ADL) 항목의 가중치 설정과 타당도 조사
Abstract
BACKGROUND
S: Though K-ADL was developed and validated, weighting each item of K-ADL is needed to evaluate the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as a whole.
METHODS
Nominal group technique was used to weight individual items of K-ADL. Relevant experts were recruited; one specialist in geriatrics, one expert in elderly health service, one doctor expert in questionnarie, one nurse and two social welfare workers and one caregiver who work in nursing home for elderly, one nurse working at dementia care center. At the first round, each expert assigned the weights of each item. At the second round, those experts met, discussed, and re-evaluated each weighting. Using the newly developed weighted score, we measured its validity compared to brain-disability grade and three experts' decision of severe dysfunction.
RESULTS
For inability to perform task, 7 points were given to 'dressing'and 'washing face', 6 points to 'bathing', 9 points to 'feeding', 8 points to 'transfer and toileting'. If any assistance is needed, 7 points were scored to 'dressing', 4 points were scored to 'washing face', 'feeding', 'transfer' and 'toileting', 2 points were scored to 'dressing'.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weighted K-ADL sum and brain-disability grade was -0.665(p=0.000).
CONCLUSIONS
We assigned differential weighting to each of K-ADL and found that summing weighted K-ADL was excellent in some validity test.
초 록

연구배경: 저자 등은 한국형 일상생활평가도구(K-ADL)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런데 K-ADL 평가를 통해 7개 항목별 기능상태 또는 자립도를 알 수 있지만, 전체 기능의 장애정도(중증도)를 구분하고, 추후의 기능상태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총점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설문지의 각 항목에 가중치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

방법: 관련된 전문가를 선정하였다. 전문가 위원은 노인의학전문의 1명, 노인보건전문가 1명, 설문조사 전문가(의사) 1명, 노인요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1명). 사회복지사(2명), 생활지도원(1명), 양로원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명, 그리고 치매단기보호센타의 간호사 1명 등 9명으로 구성하였다.

K-ADL 각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기명 그룹 기법(nominal group technique)'을 사용하였다. 1차 평가는 전문가 위원들간에 상의 없이 각자 자신의 거처에서 설문지에 대답하도록 하였다. 2차 평가는 9명의 전문가 위원과 사회자 1명이 다 같이 모여서 진행하였다. 전문가 위원들은 불일치 된 항목에 대해 토론을 하고, 난 후 각자 다시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새로이 부여된 항목별 가중치를 이용한 K-ADL 총점을 이용해 기존의 자료에 대입하여 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완전 의존상태에 대한 가중치는 옷입기(7점), 세수하기(7점), 목욕(6점), 식사하기(9점), 이동(8점), 화장실 사용(8점)으로, 부분 의존상태에 대한 가중치는 옷입기(3점), 세수하기(4점), 목욕(2점), 식사하기(4점), 이동(4점), 화장실 사용(4점)으로 각각 결정하였다.

새로 가중치를 부여한 K-ADL(Weighted)을 K-ADL개발 당시에 조사하였던 자료에 대입하여 뇌병변장애 등급타당도 조사와의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Spearman 상관계수가 -0.665(p= 0.000)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은 K-ADL과 뇌병변 장애등급과의 상관계수 -0.647보다 좀더 우수함을 보여 주었다.

결론: K-ADL의 각 항목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를 산정하였고, 타당도 조사 결과 기존의 점수 산정 방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에 대한 더 다양한 타당도 조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OUT
ARTICLE & TOPICS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TOPICS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401 Yuksam Hyundai Venturetel, 20, Teheran-ro 25-gil, Gangnam-gu, Seoul 06132, Korea
Tel: +82-2-2269-1039    Fax: +82-2-2269-1040    E-mail: agmr.editorial@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Geriatrics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